키워드
독서법, 목표관리, 시간관리, 기록관리, 실행, 본깨적
1. 내 안의 성공 씨앗을 터트리는 자기 경영 독서
- 자기 경영이란 것은 스스로 자기 주인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자기 삶의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남 탓을 하기보다 문제해결을 하기 위해 스스로 좋은 질문을 던집니다.
★ 독서 패러다임을 바꾸는 방법
골라 읽기 : 책은 중요한 부분만 골라 읽어도 된다!
반복 읽기 : 자신에게 중요한 책은 한 번 읽고 덮지 마라!
빨리 읽기 : 이해와 깊이가 다져지면 속도는 저절로 빨라진다!
★ 나만의 북 멘토 라인업
시카고 대학교 : 학생에게 ‘고전 100권’을 읽고 그 가운데 자신의 역할 모델을 발견하게 함. 고전 속의 위대한 인물을 발견하고 학습하고 닮아가는 과정을 지향한 시카고 대학교는 89명(2016년 기준)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여 세계 최고 명문 중의 명문이 되었습니다.
- 중요한 것은 독서 그 자체가 아니다 ‘독서를 통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했다. 이 말은 ‘왜 독서를 하느냐’ 하는 문제와도 이어져 있었다. ‘우리가 아는 것을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앎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
★ 독서 사이클을 만드는 습관
1) 목적 있는 독서를 하라 : 70~80%는 자신의 전문 분야, 20~30% 트렌드, 신간, 베스트셀러
2) 무작정 읽지 마라
3) 1년 50권 사이클을 만들어라
4) 머리를 깨우는 5분 틈새 독서
5) 입으로 말해보면 머리에 각인된다
6) 책의 여백을 그냥 두지 마라
7) 깨달은 것이 있다면 반드시 실천하라
★ 독서를 위한 3단계 프로세스
-사전독서 : 연관성 체크 / 3분 빠르게 훑기 / 사전 체크하기 / 핵심 키워드 뽑기
-독서 : 3색 볼펜 활용하기 / 노란 펜 밑줄 긋기 / 적용할 것 체크하기
-사후 독서 : 평가하기 / 핵심 키워드 뽑기 / 적용하고 평가하기
-사전 핵심 키워드 3개 뽑아보기 : 책 읽기 전과 책 읽은 후 핵심 키워드 같은지 살펴보기
-책을 보는 나만의 관점 기르기
1) 새로운 지식과 콘셉트는 어떤가?
2) 이 책만의 탁월한 아이디어(남과 다르게 생각한 것)는 어떤 것인가?
3) 저자의 가치관과 나의 가치관은 어떻게 다른가?
4) 책에 실린 성공사례의 원인은 무엇인가?
5) 현재 하는 일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6) 성공한 사람들의 생기 분기점은 무엇인가?
7) 책에 나타난 사람들의 생활 태도와 사고방식은 어떠했나?
2. 나만의 인사이트를 만드는 기록관리 독서법
★ 책 속에서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1) 노란 색연필과 삼색 볼펜으로 줄긋기
2) 기억에 남는 내용, 보고 깨들은 내용, 적용할 내용 정리하기
3) 체크박스 적용하기
□ : 적용하고 싶은 내용을 적습니다.
⍁ : 실천 진행 중이라면 사선으로 표시합니다.
☒ : 적용하거나 실천한 완료 했다면 엑스 표시합니다.
4) 책 메모
5) 귀접기
6) 책 뒷장 이용하기
- 기록
1) 책 내용을 요약해서 나의 언어로 기록
2) 내용을 읽고 느낀 점을 기록 : 비판력과 통찰력을 키울 수 있다.
3) 책과 대화하기 위해선 책에 내 생각을 많이 적으면 적을수록 좋아요. 내가 적은 것이 많을수록 나와 대화를 많이 한 책이기 때문이죠. 독서는 사람을 만나는 것과 닮았어요.
- 책을 내 것으로 만드는 4단계 실천법
1) 책을 읽고 핵심 키워드 3개를 뽑는다.
2) 마음에 남는 내용을 책에 표시한다.
3) 내가 깨닫고 적용할 것을 책 여백에 적는다.
4) 깨달은 것을 삶에 적용한다.
; 본 것, 읽은 것을 기록할 때는 내 생각이 아니라 저자의 관점에서 본 것을 정리하는 게 중요해요. 페이지 번호를 함께 기록해두세요.
- 콘셉트 독서란 주제를 놓고 여러 가지 책을 한꺼번에 정리하는 방식, 즉 콘셉트를 모으는 것. 책 속에 담긴 내용을 지식이라고 할 때 이런 지식이 유효한 의미를 가지고 덩어리가 되면 패턴이 됩니다. 패턴들이 특정한 주제로 모이면 콘셉트로 발전하는데 콘셉트는 일정한 원칙과 기준을 만드는 거죠.
3. 인생이 패러다임을 바꾸는 시간 관리 독서법
- 시간 관리는 인생관이. 자기 영영 독서 멘토링의 핵심.
자신이 시간을 어디에 어떻게 쓰고 있는지 한 달 동안 1주일 단위, 하루 단위로 기록해보세요. 자신의 기억을 믿지 말고 자신의 기록을 신뢰하세요.
- 뭔가 시작할 때 계획부터 세우지 말고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파악하는 게 우선입니다.
- 성취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대화할 때 ‘시간’이라는 단어를 자주 썼고, 그렇지 못한 학생들은 아예 시간 개념이 없었다고 합니다.
-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도 훌륭한 가이드에요. 프롤로그는 책이 나오게 된 계기와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지요. 핵심 단어나 핵심 개념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고요. 이런 정보를 갖고 책을 읽는 것과 그냥 책을 읽는 것은 커다란 차이가 있어요. 에필로그는 책을 마무리하면서 저자가 독자들에게 중요한 것을 다시 정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책에서 배운 내용을 삶에 어떻게 적용하는 게 좋은지 알려주지요. 책을 읽기 전에 이렇게 딱 3분만 투자해도 책을 읽을 때 중요한 부분과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구분할 수 있어요. 이런 연습을 통해 중요한 곳은 천천히, 중요하지 않은 곳은 빠르게 읽으면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어요.
★ 3분 만에 책을 간파하는 방법
앞표지 : 책의 컨셉, 느낌, 주요 메시지
뒤표지 : 책의 요약, 추천사 등
프롤로그 : 책을 읽기 전 나침반의 역할
에필로그 : 책을 마무리하는 매듭
목차 : 책의 맥을 잡아주는지도, 책의 전개 방식, 책의 구조
★ 독서 효과를 3배 높이는 법
1) 리뷰 : 빠르게 다시 읽기
2) 초록 : 필요한 내용 옮겨 적기
3) 산책 : 책만큼 중요한 산책
4) 평가 : 분류하기
5) 책을 읽고 난 후 핵심 키워드 3개 뽑아보기
4. 매일 생존력을 키우는 목표관리 독서법
-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차근차근 읽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습니다.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을 파악해서 그것을 기존의 지식과 연결해야 자신만의 인사이트가 생깁니다.
- 한 권의 책에서 반짝이는 가능성을 발견하라
: 목적이 분명한 독서를 하면 책이라는 망망대해에서 가능성이라는 금덩어리를 발견할 수 있다.
- 성공한 3%는 ‘종이 위에 적은 나만을 목표’를 갖고 있었다.
- 목표는 스마트 SMART 하게 세워야 해요.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실현할 수 있어야 하고, 결과 중심적이며, 기간을 설정해야 하지요.
★독서 플랜 가이드
1) 주제별 독서 플랜 : 자신의 전문 분야 혹은 자신이 배우고자 하는 분야에 대하여 독서 하는 것. 주제들에 대한 좋은 책 추천리스트 사전에 많이 확보.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거나 스크랩
2) 평생 독서 플랜 : 살아 있는 기간의 독서계획을 세우는 것
- 독서를 통해 이루고 싶은 미션, 비전, 평생 계획인 장기목표, 중기목표 형태로 브레이크다운을 해야 하며, 이것을 다시 연간 계획 형태인 단기 목표로 나누고 월간, 주간, 일간 계획 형태의 플랜으로 세분화시킬 때 제대로 된 목표관리 구조를 완성했다고 할 수 있지요.
- 책으로 나를 바꾸는 방법 ‘보고, 깨우치고, 적용하라’
1) 저자의 관점에서 인상 깊은 문장과 키워드를 중심으로 책을 본다
2) 나의 입장에서 깨달은 것이나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을 기록한다
3) 개인과 조직의 분야에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한다.
- 책을 읽을 때 책 자체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본 것은 책의 윗부분 여백에 적고, 깨닫고 적용할 것은 아랫부분 여백에 적어서 위아래 공간을 나눠 활용하는 법이지요.
- 보니까 적은 중요한 부분을 요약 정리해서 옮겨 적는 것이기 때문에 핵심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저자의 생각뿐만 아니라 자기 생각도 적어놓기에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 적재적소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지식노트를 만들자
: 책을 읽고 덮으면 저대로 나의 지식이 될 수 없다. 규격과 사이즈를 통일해서 일목요연하고 체계적으로 지식을 관리하는 노트를 만들자
★ 수많은 책에서 한 권을 고르는 방법
1) 추천 도서 리스트
2) 신문 광고 스크랩
3) 서평, 북 칼럼
4) 베스트셀러, 스테디셀러
5) 고전
6) 정기적인 서점 방문
- 압도적인 정보와 지식으로부터 내게 꼭 필요한 것을 찾으려면 지식을 콘셉트 화해서 분류해야 합니다. 역설적으로 들릴지도 모르지만 많은 선택보다 적은 폭 위에서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죠.
- 지식을 콘셉트 화해서 분류할 때는 ‘무엇을 덧붙일 것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덜어낼 것인가’가 핵심입니다. 보니까 적 지식관리법은 책 속에 담긴 모든 것을 쓸어 담는 게 아니에요. 자신에게 중요한 것을 골라내는 것이 중요하지요.
- 여러 각도에서 입체적으로 책을 읽자
: 옆으로 넓게 뻗어가는 수평적 책 읽기와 깊숙이 파고드는 수직적 책 읽기를 함께할 때 입체적 책 읽기의 인사이트가 나온다.
'경제경영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의 자극과 출처, 꿈의 해석, 프로이트 (0) | 2022.10.01 |
---|---|
기억의 밭에서 올라오는 꿈, 꿈의 해석, 프로이트 (0) | 2022.09.30 |
꿈에 관한 학문적 성과들, 프로이트 (0) | 2022.09.28 |
프로이트 꿈의 해석 용어들 정리 (0) | 2022.09.27 |
돈 되는 방구석 1인 창업, 박서인 저 (0) | 2022.09.23 |
1인 기업을 한다는 것, 1인 기업 필독서 (0) | 2022.09.22 |
나는 세포마켓에서 답을 찾았다 윤여진 저 (0) | 2022.09.21 |
메타버스의 시대, 7대 메가트렌드 (0)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