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11월 14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및 마케팅 뉴스

by 핑크조이 2022. 11. 14.
728x90
반응형

★★11월 14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신문 헤드라인 마케팅 뉴스



《경 제》

☞“오일머니 금고지기 서울에 떴다!”...韓 기업인들 잇달아 미팅...정기선 HD현대 사장 “현대重과 협력 강화”...김선규 호반 회장 “전력망 이어 건설·토목 협력”...나형균 대한전선 사장 “사우디 사업 확대”

☞전문가 절반 “韓경제, 2008년 금융위기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경총, 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 설문...회복 시점은 “2024년 이후에나”...80% "내년 성장률 2% 못 미쳐"

☞'먹을건 김치 뿐'..밥상물가 다 오르는데 김장만 싸졌다...배추 20포기 김장비용 22만만원..전년比 9.1% ↓...소금·새우젓 비중 줄여도 김장 비용 낮아져...배추 가격이 하락이 결정타..가을배추 풍년

☞무역협회, ‘일본기업 취업박람회’ 개최…142명 면접 진행...소프트뱅크·닛산자동차 등 21개 日기업 참가...국내 청년 142명, 日기업과 이틀간 면접 진행...“청년 커리어 개발 위해 해외 취업박람회 개최”

☞산업부, 기준연료비 인상 검토중…내년 전기요금 오를듯...한전 대규모 적자·자금 조달 경색에 위기감↑…조정폭 저울질...연료비 조정 단가 인상·SMP 상한제 시범 도입도 연내 가능성



《금 융》

☞달러 대비 원화, 이달 들어 8% 절상…주요국 중 최고...지난 11일 원/달러 환율 1318원 마감...달러 대비 원화 절상률은 8.0% 달해...외국인 순매수, 美 물가 둔화 등 영향

☞‘최악의 하루’ FTX, 파산신청 이어 7900억 해킹 사고...FTX 지갑에서 6억달러 코인 사라져...탈중앙화거래소(DEX)로 이동...FTX 공식 텔레그램 “해킹 발생, 앱 지워야”

☞최대 실적에도 외면받은 4대 금융…‘개인·외국인’ 팔고 나간다...한 달간 코스피 상승보다 못한 성적 낸 4대 금융 주가...외국인 1923억원·개인 949억원 순매도...최대 실적 냈지만 규제 강화 등에 투자심리 약화

☞이자 폭등하자…'금리상한형 주담대' 40% 가까이 급증...주담대 금리 연말 연 8% 눈앞에 두자...이달 들어서만 100건 넘게 접수

☞한 주 만에 100원 급락한 원달러 환율..안정세 접어드나...11일에만 60원 하락..한미스와프 이후 가장 큰 폭 하락...추세적 안정세 접어드나..무역적자, 미 연준 등 변수도


《기 업》

☞'2022 중견기업 주간' 개막…디지털 전환·성과 확산 추진...산업부 개최 행사…업계 사기 진작 차원...컨퍼런스·우수 사례 발표·수여식 등 진행

☞현대차∙기아, ‘2022 오픈 이노베이션 라운지’ 개최...스타트업과 발굴한 혁신 기술 한 데 모아..."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선도 위해 도전할 것"

☞'인맥왕' 이재용, 숨가쁜 일주일 되나...글로벌 거물들 연쇄회동 유력...MS CEO·ASML CEO·사우디 왕세자 연이어 방한...JY와의 친분·삼성 '미래 먹거리' 감안...회동 가능성 高...MS와는 '미래' ASML과는 '반도체' 빈 살만 왕세자와는 '네옴시티'

☞급증하는 기업대출, 가계부채 이어 경제 뇌관되나...기업대출 급증…세계서 두 번째로 빨라 자금시장 경색에 은행 찾는 기업들 다수...기업대출 위험도, 가계대출보다 커...대출 특성상 거액이 한곳에 집중돼...기업 도산, 은행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관계형 금융 치중된 지방은행도 관리 필요...부실 징후 기업 선제적으로 구조조정해야

☞조선3사 올 수주 성적표는? 현대>대우>삼성 順...한국조선해양 목표 수주량 127.8%...대우조선해양 117% 초과 달성해...삼성중공업 89%…연말엔 목표 초과 전망


《부동산》

☞눌려 있는 집값, 3년 뒤가 더 걱정된다...착공량 큰 폭 감소세가 가장 큰 문제…정비사업 규제 강화·공사비 인상·PF 차단 영향...올해 주택 착공량, 지난해보다 26% 감소..."청약 부분만이라도 활성화 방안 마련해야"

☞영끌 대출에 허리가 휩니다…주거비 부담에 짓눌린 무주택·1주택 중산층...LH 토지주택연구원 연구 결과 살펴보니...중산층 최소 98만3000가구는 주거비 과부담...계층 하락 위기 가구, 연령 낮고 가구원수 많아

☞'벼락부자 청약' 이젠 옛말?…서울 미계약 물량 1년새 폭증...올해 1∼11월 수도권 청약 미계약 물량 7363가구...서울, 작년 동기 대비 4배 뛰어···경기 2.1배...서울 무순위 청약 경쟁률, 5분의 1 급락도

☞조정지역 해제에 '양도세 중과' 사라져…'중과 배제'도 연장 가능성...잇단 조정지역 해젱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대부분 사라져...尹정부 출범 직후 시행 조정지역 한시배제도 연장 가능성..."일몰 도래 전 시장상황 보고 전반적인 개편 여부 등 결정"

☞“집값이 기가 막혀”…역대급 시장 침체에 ‘공시가>실거래가’ 아파트 속출...공시가 19억8500만원 잠실엘스 최근 두차례 19억5000만원 거래...조세재정硏, 현실화율 유예 제안 국토부 11월 동결 발표 가능성 커



《사회 / 유통》

☞'찾아가는 청년정책 현장 워크숍' 11~12일 고성서 열려...청년 지역가치창업가, 오두산치유숲서 경험·노하우 공유...인구감소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역할, 협업방안 등 논의

☞만취한 채 시속 200㎞로 도주한 70대...순찰차와 추격전...차량으로 순찰차 밀어붙여 경찰관 부상...징역 1년6개월 선고...음주운전 등으로 과거 5차례 처벌 전력 있어

☞광주 장애인 시설서 화재…인명 피해 없어...27분 만에 진화…59명 무사 대피...스프링클러·감지기 등 정상 작동

☞코로나 신규확진 4만8465명…10주 만에 최다...위중증 환자 400명 육박…24일 만 '더블링'...사망 48명, 사흘째 40명대…치명률 0.11%...중환자 병상 가동률 31.9%…9일째 증가세

☞14일부터 화이자 BA.4/5 개량백신 접종…BA.5 예방능력 2.6배...18세 이상 중 접종·감염 후 120일 경과한 사람 대상...3종 개량백신 중 선택…당일예약·현장접종도 가능


《국 제》

☞美 "北 핵·미사일 증강은 아시아내 '강화된' 미군 주둔 촉진…中 역할에 관심"...설리번 백악관 안보보좌관,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 언급...바이든, 다음 주 시진핑 만나면 北 무력도발 억제 주문할 듯..."중국이 북한의 최악의 성향을 억제하는 데 역할 할 지 관심"..."한미일 회담, 구체 성과물보다 다양한 위협 속 안보 협력 강화"...바이든, 아세안 내 美영향력 강화 원해…미얀마 문제도 관심

☞우크라 9개월 만에 헤르손 탈환… 무기 팽개치고 도망친 러시아...헤르손 탈환, 하르키우주 수복 이어 최대 전과...젤렌스키 "역사적"… 주민들 기쁨의 눈물·환호...버려둔 러군 무기도 발견… 미국 "특별한 승리"

☞중국, 시진핑 3연임 확정 후에도 대만 겨냥 군사압박 계속...대만군, 11월 1∼11일 대만 주변서 중국 군용기 247대 포착

☞美재무, 中인민은행 총재와 발리서 대면회담…"글로벌경제 논의"...美中 정상, 첫 대면회담 즈음해 개최…中의 개도국 부채 문제도 압박할 듯..."가격상한제 덕분에 인도 등 할인가에 러 원유 구매 가능하게 돼 기뻐"

☞상원도 안갯속...'레드 웨이브' 실패에 트럼프 대세론 '흔들'...상원 장악, 조지아 결선투표로 결정될 가능성 커...경합지 다수 내준 공화당, 조지아 결선에 '긴장'...기대했던 대승 놓친 공화당에 트럼프 책임론 부각...공화당 내부 "트럼프 지지 안해…측근 후보 때문"

 

마케팅 뉴스

https://www.dmktnews.com/kwa-76601-5843

1. 두 자릿수 쑥쑥 크던 온라인 광고 시장 한파

매년 두 자릿수 성장하던 전 세계 온라인 광고 시장에 한파가 몰아닥쳤다. 미국 주요 광고주들은 올해 온라인 광고비로 653억 달러(약 90조 원)를 집행할 예정이다. 작년보다 고작 3.6% 증가했다. 경기 둔화와 비용 상승으로 대기업이나 금융회사 같은 대형 광고주들이 허리띠를 졸라맨 것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2. 네이버 '플레이스 쿠폰', 두 달 만에 100만 다운로드

네이버의 플레이스 쿠폰이 출시 두 달 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플레이스 쿠폰은 스마트플레이스 플랫폼에서 SME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신규고객 유치나 단골고객 관리 등 목적에 따라 플레이스 쿠폰을 발급하고, 이를 내 가게 스마트플레이스 페이지에 게재할 수 있다.

 


 

3. 소비자, 평균 3.9개 채널에서 동일 콘텐츠 즐겨

오픈서베이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자는 같은 콘텐츠를 평균 3.9개의 채널에서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의 콘텐츠를 유튜브, 쇼츠 등에서 소비하고, 다시 인스타그램에서도 적지 않은 비중이 소비하고 있었다. 콘텐츠 유입 경로가 다각화되면서 플랫폼 성격에 맞게 콘텐츠를 가공하는 게 중요해지고 있다.

 


 

4. 네이버, '자주 찾는 정보' 담은 검색 FAQ·Q&A 블록 제공

네이버는 학자금 대출, 축의금 액수 등 사용자들이 많이 찾는 특정 주제 질문과 답변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검색 콘텐츠를 제공한다. 지식iN, 블로그, 카페에 쌓인 사용자 생성 정보를 재가공한 것이다. 기존에는 지식iN 모음이나 특정 웹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유도했다.

 


 

5. 수능 '코앞'인데 유통가 '조용한 마케팅' 지속

유통업계가 수능을 앞두고 예년과 달리 조용한 수능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이태원 참사 여파로 인해 애도를 표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준비한 각종 마케팅을 취소하거나 자제하는 분위기다. 큰 오프라인 행사보다는 용품 판매나 배송 서비스 등의 마케팅을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

 


 

6. 뷰티컬리, 10개 럭셔리 브랜드와 릴레이 라방

컬리의 뷰티 부문 '뷰티컬리'가 10개 뷰티 브랜드와 릴레이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한다. 이커머스 업계에서 다양한 뷰티 브랜드와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하고 있지만 연속으로 진행하는 사례는 드물다. 지난 8일 진행한 '맥'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는 시청자 수가 3만 명을 넘어섰다.

 


 

7. 구글, 플레이스토어 '이용자 선택 결제' 적용

구글이 플레이스토어 '이용자 선택 결제(User Choice Billing)' 시스템을 미국으로까지 확대 시범 적용한다. 앱 내 구매할 때 구글 인앱 결제 외 개발자 제공 결제 시스템도 선택할 수 있다. 이용자 선택 결제는 지난해 8월 국회에서 인앱 결제 강제 방지법이 통과된 후 같은 해 11월 한국에서 처음 도입된 바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