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교육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신혼기 및 자녀출산기(2)

by 핑크조이 2022. 1. 27.
728x90
반응형

자녀 출산 및 양육비 준비

1. 아이를 키우는 데 얼마나 들까?

먼저 자녀에게 얼마나 돈이 드는지 알아야 각자 대책을 마련하겠죠? 다음에 제시 하는 비용을 참조해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출산 및 양육 비용을 생각해 보세요.

 

출산비

 

출산을 위한 비용은 임신 중 병원진찰 비용, 분만비용, 산후조리원 비용, 출산준 비물 비용 등입니다. 출산을 위한 총비용은 구체적인 통계 수치로 나와 있지 않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이지만 대략적인 수준에서 추정해 보면, 출 산 전 진찰은 평균적으로 약 13회 정도 받는 것으로 가정할 때 약 50만원(국가에서 지원해 주는 ‘출산 전 진료비 지원’ 60만원을 제외한 개인부담 비용) 정도를 지출하며, 분 만비용으로 100만원 정도(제왕절개 여부, 1인실 사용 여부 등에 따라 금액의 차이가 발생 할 수 있음), 산후조리원 비용으로 220만원 등 개인 편차가 심한 출산 준비물을 제 외하더라도 최소 370여 만원이 듭니다.

양육비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실태 조사」에 따르면 자녀에 대한 한 달 양육비 지출은 1자녀 가구의 경우 73만원, 2자녀 가구의 경우 138만원, 3자녀 가 구의 경우 162만원 정도였습니다. 또한, 「영유아 가구의 소비실태조사 및 양육비 용 연구」에 따르면 영아 1인당 양육비용은 월 68.7만원, 유아 1인당 양육비용은 월 100.2만원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결론적으로 자녀를 낳아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양육비용으로 1인당 6,000여 만원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혼기는 결혼 준비, 주택자금 마련 등으로 인해 이미 부채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대출 이 자 상환 비용과 같은 고정지출의 비중이 높을 수 있는 시기입니다. 이런 시기에 임신・ 출산에 370만 원 이상, 자녀 양육에 한 달에 약 80만 원씩 초등학 교 입학 전까지 총 6,000여 만원이 필요하다고 생 각한다면 부모의 어깨는 정말 무거워집니다.

 

2. 출산, 양육비 부담 줄여보기

국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고 가정의 출산 및 양육을 돕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 정보 외에도 더 많은 정보를 원할 경우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사이트를 이용해 보시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 출산·양육비를 미리 준비해 두면 좋아요

 

출산비와 자녀양육비는 그 성격이 다르므로 쓰임새에 맞춰 비용을 준비합니다.

 

▶출산비

출산 비용 중 산전 진찰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들은 출산과 더불어 한번에 필요한 자금이므로 사전에 기간과 필요 자금을 미리 잘 계획하면 충분히 준비할 수 있습니다. 출산 비용은 대부분 단기적으로 준비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기금 융상품을 활용하여 준비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 비용은 일정 기간 이후에 반드시 사용해야 할 자금이므로 수익성보다는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금융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유동성 및 안전성도 높으면서 일반 입출금식 예금보다 이자가 높은 단기금융상품으로는 CMA, MMF, MMDA 등이 있고, 3~6개월 정도 단 기에 운용할 수 있는 CD, CP와 같은 금융상품도 있습니다.

▶자녀 양육비

자녀 양육비는 영・유아기 6년 동안 약 6,000만원 정도 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는 데, 이 비용을 한 번에 다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 번에 목돈이 드는 것이 아니 라 매달 약 80만원 정도의 양육비가 영・유아기 자녀에게 고정적으로 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녀의 영・유아기 동안의 소득 수준을 예상해 보고 부족자금 을 예측하여 준비하면 됩니다. 자녀양육비는 출산비보다는 비교적 훗날에 필요한 자금이므로 정기적금이나 적립식펀드 등 자신의 위험성향에 따라 적절한 금융상 품을 활용하여 준비할 수 있습니다.

 

꼼꼼히 따져서 합리적으로 지출해요

 

출산 및 양육비는 가계의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적정수준에서 지출해야 합니다. 자신이 처한 상황, 즉 소득이 어느 정도인지, 부채로 인해 매달 나가는 돈이 얼마인 지, 저축은 어느 정도 하고 있는지, 소비지출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등을 구체적으 로 파악하고, 가족들이 원하는 물건이나 필요한 물건이 무엇인가를 고려해 가계에 큰 부담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비지출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 구매의사결정 단계는 문제인식 → 정보탐색 → 대안평가 → 구매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합리적인 소비지출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문제인식 단 계에서 그것이 정말 필요한 것인지, 우리 가계의 수준에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판 단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정보탐색과 대안평가 단계에서는 가능한 충분한 정보를 수집 및 탐색하고 평가하여 구매의사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