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제경영도서21 꿈의 자극과 출처, 꿈의 해석, 프로이트 꿈은 어떻게 해서 생겨나는 것일까? '꿈은 위에서 비롯된다 속담이 있듯, 수면 장애가 꿈의 원인일까? 그리하여 잠자는 동안 방해받지 않으면 꿈은 생기지 않는 것일까? 꿈을 신의 계시로 이해했던 고대인들에게 꿈은 규명의 대상이 아니었다. 신이나 악령의 힘이 미치는 것이라고 보았으므로 굳이 꿈의 원인을 규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꿈이 심리학이나 생리학의 연구 대상이 되면서 학자들은 수면 장애의 원인, 즉 꿈의 자극과 출처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하게 되었다. 꿈이 어떻게 해서 생겨나는지, 꿈의 출처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보면 그 자극에 따라 외적(객관적) 감각 자극, 내적(주관적) 감각 자극, 내적 신체 자극, 순수한 심리적 자극 이렇게 네 가지로 나눔을 알 수 있다. 외적 감각 자극 인간의 감각기관은 매우.. 2022. 10. 1. 기억의 밭에서 올라오는 꿈, 꿈의 해석, 프로이트 꿈에 대한 평가는 연구가들마다 다양하다. 이 별개의 세계여서 잠자는 사람을 데려간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런 사람에게 꿈은 도피처의 구실을 한다. 낮 동안의 삶을 벗어나 우리의 지친 삶을 해방해주는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그때 꿈은 우리의 의식 세계와는 전혀 무관한 세계에 자리 잡고 있다. 그러니까 그 세계는 일상으로부터 해방된 공간이기도 하고 고립된 공간이기도 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가는 꿈과 의식을 분리하지 않는다. 꿈은 의식 활동의 연장이어서 우리의 평상시 생각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본다. 꿈은 우리를 일상으로부터 해방하기보다는 그곳으로 귀착하게 한다. 그래서 우리가 말하거나 행동했던 것을 되풀이하게 만든다. 한마디로 꿈은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낮 동안의 자극이.. 2022. 9. 30. 꿈에 관한 학문적 성과들, 프로이트 1. 꿈에 대한 옛사람들의 생각 나는 모든 꿈을 해석할 수 있는 심리학적 기술이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이 기술을 적용하면, 꿈이 낮 동안의 정신 활동과 관련돼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 정체 모호한 꿈들 역시 그 실체를 밝힐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심리적 요소들이 작용하는지 또한 추론할 수 있다고 본다. 우선 나는 꿈에 관한 기왕의 연구 성과들에 대해 개괄하고자 한다. 사실 꿈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수천 년에 걸쳐 이루어져 왔지만 그 성과는 미미한 편이다. 꿈의 본질을 파헤쳐 그 수수께끼를 학문적으로 규명한 전례는 아예 없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이 주제에 관한 한 그 수준은 더욱 떨어진다. 그러나 학문적 성과의 미흡하.. 2022. 9. 28. 프로이트 꿈의 해석 용어들 정리 1. 의식, 전의식, 무의식 프로에트는 인간의 정신 영역을 크게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누고 그 중간 단계에 전의식이라는 영역을 설정했다. 의식이란 우리가 느끼고 깨닫는 모든 행위와 감정들을 포괄한다. 하지만 의식이 작동하는 시간이 그리 긴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인식 내용들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전의식이나 무의식의 영역으로 사라진다. 전의식은 무의식과 의식을 연결해 주는 일종의 교량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전의식을 '이용 가능한 기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무의식은, 프로이트에 의하면 대단히 중요한 '의식 수준'일 뿐만 아니라 그 영역도 방대하다. 무의식에는 성적 욕구 같은 본능적인 욕구를 비롯해 다양한 감정과 충동들이 억압되어 있다. 이 억압된 충동이나 본능들 때문에 인간은 갈등을 겪으며 모순된 행동을 .. 2022. 9. 27.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