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프로이트7

어린 시절의 꿈의 출처, 꿈의 해석, 프로이트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토대로 꿈을 자극하는 데 사소한 자극이란 없으므로 단순한 꿈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아동들이 밤 동안 느끼는 감각적인 짧은 꿈을 제외하면 나는 엄밀한 의미에서 이 결론이 옳다고 생각한다. 꿈은 결코 사소한 것과 관계하지 않는다. 우리는 잠자는 동안 거의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얼핏 보아 단순해 보이는 꿈들도 막상 분석을 해보면 교묘하게 왜곡된 것으로 드러난다. 이에 대한 반론이 만만치 않을 것 같지만 이 문제는 우리가 이미 정리한 바 있다. 어린 시절의 꿈 - 잠재적 꿈의 출처 아동기 인상들의 꿈을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출처가 얼마나 빈번한지를 우리는 알지 못한다. 따라서 어떤 꿈이 아동기의 꿈인지를 증명해낼 수 있어야 한다. 증명할 수 있는 조건들이 맞아.. 2022. 10. 7.
꿈의 해석, 프로이트, 꿈의 왜곡 꿈- 왜곡의 두 가지 심리적 경향 꿈을 왜곡하는 현상과 검열하는 현상을 통해 인간에겐 두 가지 심리적 경향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중 하나는 소망 충족으로서의 꿈을 지향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그 꿈을 검열하고 급기야 표현을 왜곡하도록 강요한다. 검열을 수행하는 이 두 번째 심리적 경향이 허락하지 않는 첫 번째 심리적 경향의 어떤 것도 의식에 떠오를 수 없다. 두 가지 심리적 경향과 의식의 관계를 고려하면, 꿈속에서 비하했던 동료 r에게 내가 보인 분명한 애정과 비슷한 경우를 현실 정치에서 찾아보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가령 권력을 독점하기 위해 필사적인 독재자와 활발한 여론이 대치하는 국면을 가정해보자. 국민들이 마음에 들지 않는 관료를 해임하라고 요구할 경우, 독재자는 반발한다. 그는 자신이 .. 2022. 10. 5.
꿈의 출처, 내적 감각 자극, 내적 신체 자극, 순수한 심리적 자극 내적 감각 자극 꿈의 성질이나 유형에 비추어볼 때, 외적 감각 자극만으로 꿈의 출처를 설명하기가 충분치 않다고 본다면 우리는 다른 꿈의 출처를 찾아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내적 감각 자극에 주목하게 된다. 이 자극은 잠자는 사람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자극, 이를테면 배가 고프다든지 허리가 아프다든지 하는 자극을 말하며 이것이 꿈의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이 어디에서 생겨났는지는 알 수 없지만 최근의 글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분트는 이렇게 말한다. - 꿈의 내용을 착각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시각과 청각이다. 어두운 곳에서 본 빛이나 이명 현상 등이 그런 상황을 촉진한다. 그 가운데서도 주관적 망막 자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꿈에서 비슷한 형상들이 여러 개.. 2022. 10. 2.
꿈의 자극과 출처, 꿈의 해석, 프로이트 꿈은 어떻게 해서 생겨나는 것일까? '꿈은 위에서 비롯된다 속담이 있듯, 수면 장애가 꿈의 원인일까? 그리하여 잠자는 동안 방해받지 않으면 꿈은 생기지 않는 것일까? 꿈을 신의 계시로 이해했던 고대인들에게 꿈은 규명의 대상이 아니었다. 신이나 악령의 힘이 미치는 것이라고 보았으므로 굳이 꿈의 원인을 규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꿈이 심리학이나 생리학의 연구 대상이 되면서 학자들은 수면 장애의 원인, 즉 꿈의 자극과 출처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하게 되었다. 꿈이 어떻게 해서 생겨나는지, 꿈의 출처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보면 그 자극에 따라 외적(객관적) 감각 자극, 내적(주관적) 감각 자극, 내적 신체 자극, 순수한 심리적 자극 이렇게 네 가지로 나눔을 알 수 있다. 외적 감각 자극 인간의 감각기관은 매우.. 2022. 10.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