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72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사회초년기(4) 결혼자금 마련 1. 결혼 관련 통계 현황 1인 가구 증가 우리나라는 1인 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 료에 따르면, 전체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9.0%에서 2000년 15.5%로, 2018년 29.3%로 증가했습니다. 2005년 이전까지는 4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2015년 이후로는 1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장래가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2045년에는 36%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18년 기준 20대와 30대 1인 가구는 전체 1인 가구의 약 35%를 차지하며 서울 의 경우에는 47% 이상을 차지합니다. 1인 가구의 혼인상태는 미혼의 비율이 44% 정도로 가장 높습니다. 또한 35세 이상의 미혼가구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 2022. 1. 27.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사회초년기(3) 3.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계산 연말정산에 대한 얘기를 하기 앞서, 소득세를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 리나라의 소득세법은 종합과세를 원칙으로 합니다. 즉, 모든 종류의 소득을 종합 해서 누진세율에 의해 세금을 부과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종합소득세라고 합니다. 다만, 퇴직소득이나 양도소득처럼 일시에 큰 금액이 생기는 소득은 종합해서 누진 세율을 적용하면 세금 부담이 너무 커지니까 별개로 과세를 합니다. 종합소득세 계산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 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의 6가지 소득을 합산한 금액에서 소득공제를 차감하여 과 세표준을 정합니다. 여기에 6~45%의 8단계 누진세율을 적용(2021년부터 적용. 2020 년까지는 7단계로 최고 42%)해서 산출세액을 구.. 2022. 1. 18.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사회초년기(2) 사회초년기 자금관리 1. 종잣돈 마련하기 종잣돈 마련의 필요성 사회생활을 시작하여 월급을 받게 되면 비록 적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저축하여 종 잣돈을 모으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저축을 통해 종잣돈을 모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은 이후 결혼자금이나 주택마련자금, 노후준비 등에서 큰 차이가 생기기 때문입 니다. 사회초년기는 종잣돈을 모으기에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 물론 소득이 많지는 않지만, 합리적인 관리를 통해 지출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이 시기에는 과감하게 소득의 50% 이상을 저축해서 종잣돈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종잣돈의 규모가 클수록 더 큰 자산을 축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소득이 적은 사회초년생 시기에는 큰 돈을 목표로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우선 종잣돈 만들기 성공.. 2022. 1. 7.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사회초년기(1) 사회초년기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제적으로 독립을 하게 되는 대학생 또 는 사회초년생부터 결혼을 하기 전까지의 단계를 말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결혼 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연령대로는 20~30대가 사회초년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 습니다. 사회초년기는 청년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 청년기본법에서는 19~34세를 청년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사회초년기는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앞으로 경험하게 될 수많은 라이프이벤트에 대비하여, 재무목표를 세우고 재무자원의 관리를 시작해야 하는 시기이지요. 대학생이라면 학자금 마련이 가장 우선순위의 재무목표가 될 것이고, 소득활동을 시작했다면 결혼자금이나 주택자금 등 종잣돈 마련이 주요 재무목표 가 될 것입니다. 사회초년기에는 장・단기 재무목표를 설정한 .. 2022. 1. 5. 이전 1 ··· 15 16 17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