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금융교육8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자녀성년기 및 독립기(5) 금융사기로부터 자산 보호하기 1. 금융사기란 무엇인가? 금융사기는 다른 사람을 속여서 돈을 빼앗아 가는 범죄행위입니다. 그 수법이나 형태가 다양하며 사회가 발전하는 만큼 금융사기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지능화되 고 있습니다. 금융사기에 취약한 50대 2020년 경찰청 통계에 의하면 2017년부터 보이스피싱 피해가 점차 증가하여 2019년에는 피해건수가 3만 7,667건, 피해액이 6,398억원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금융감독원이 해당 3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135,000명을 분석한 결과, 50대(피해자의 32.9%)가 모든 사기 유형에 가장 취약한 피해자였다는 것입니다. 이는 유사수신 피해에서도 마찬가지로 2019년 중 금융감독원 「불법사금융피해 신고센터(☎1332)」에 접수된 유사.. 2022. 2. 13.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자녀성년기 및 독립기(1) 자녀 독립 준비하기 1. 자녀의 결혼 및 독립에 대한 준비 현재 우리나라는 1인 가구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1인 가구는 2000년 에는 전국 가구의 15.5%에 지나지 않았으나 2018년을 기준으로 약 2배가 상승한 29.3%이며, 서울에는 1인 가구가 약 32%에 달합니다. 2018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 면 20대와 30대 1인가구는 전체 1인가구의 약 35%를 차지하며 서울의 1인가구 중 에서는 47%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초혼연령의 증가와도 연관이 됩니다. 우리나라의 평균초혼연령 은 2000년에 남자 29.28세, 여자 26.49세였던 것에서 2019년에는 남자 33.37세, 여 자 30.59세로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요즘의 젊은 세대 중에서는 결혼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고 생.. 2022. 2. 12.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자녀학령기(5) 노후자금 마련 시작하기 1. 은퇴준비가 필요한 이유 인구구조의 변화: 노인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지난 2018년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4.3%가 되어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고령인구 비율이 20.3%가 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 고 있습니다. 반면 젊은 세대의 인구는 오히려 감소하여 2015년 17.5%였던 노년부 양비(생산가능인구 5.7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가 2020년에는 21.7%로 증가하여 생산 가능인구 4.6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2036년 노년부양비는 51%가 되어 생산가능인구 2명이 노인 1명을 부 양하는 상황이 됩니다. 사정이.. 2022. 2. 11.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 자녀학령기(4) 신용, 부채관리와 투자설계 1. 신용관리를 위한 10가지 핵심원칙 1. 과도한 빚은 고통의 시작임을 명심하라 대출이나 신용카드 사용액은 자신이 갚아야 할 빚입니다. 상환능력에 비해 과도 한 채무는 가계운영이나 개인의 삶을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연체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신용평가점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 을 받을 때는 상환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인터넷, 전화 등을 통한 대출은 신중하게 결정하라 돈이 필요할 때 대출이나 현금서비스 사용을 권유하는 전화 또는 인터넷 광고를 접하게 되면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신속하고 편리하게 돈을 구할 수 있어 충분한 정보도 없이 이러한 대출을 사용하기 쉬운데요, 개인신용조회회사(Credit Bureau,.. 2022. 2. 11. 이전 1 2 다음 728x90